Hey this way

주체적인 삶을 사는 사람의 블로그

[태그:] 10일

아내의 요리 영상을 찍어주기 시작했다.

오늘 아내와의 프로젝트를 시작했다. 5~6개월 정도 기획하는 시간을 묵혀왔었는데 드디어 시작이다. 촬영과 1차 편집은 내가 하기로 했다. 그리고 아내는 기획과 요리, 그리고 2차 편집자막 붙이기을 담당하기로 했다. 대략적으로 어떤 결과물을…

오늘 아내와의 프로젝트를 시작했다. 5~6개월 정도 기획하는 시간을 묵혀왔었는데 드디어 시작이다.

촬영과 1차 편집은 내가 하기로 했다. 그리고 아내는 기획과 요리, 그리고 2차 편집자막 붙이기을 담당하기로 했다.

대략적으로 어떤 결과물을 편집할지 생각은 해놓았다. 하지만 명확하지 않다. 이건 편집을 해가면서 그동안 쌓아왔던 경험을 활용해 감각적으로 처리해 보기로 했다.

다만, 이런 상태였기 때문에 촬영할 때 조금 힘들었다. 내가 지금 촬영하고 있는 컷이 어떻게 쓰일지 명확하지 않았기 때문이다. 확신이 없는 컷 촬영은 쉽지 않았다. 촬영 시간은 실시간으로 지나가기 때문이다. 한 번 지나간 시간은 다시 돌아오지 않는다. ‘요리를 다시 해야 한다고?’라는 마음의 벽이 있기에 재촬영은 거의 불가능하다.

그래도 꾸역꾸역 찍어갈 수 있었던 이유는 있다. 몇 달 전에 진행했던 테스트 영상 제작 경험이 있었기 때문이다. 최소한 그 퀄리티보다는 나은 결과물을 빼낼 수 있겠지 싶었다.

맛있었다 👍

지금은 촬영본을 파이널컷에 올려놓고 프록시proxy, 대용량 영상 파일을 저사양 컴퓨터에서 편집할 수 있도록 용량을 임시 압축하는 처리 방법 처리 되기를 기다리고 있다. 2019년에 산 인텔 기반 맥북프로라 비행기 이륙 소리처럼 팬이 미친 듯이 돌고 있다. 프록시 처리 완료되기 전에 편집을 시작해도 되는데, 5년간 함께 해온 친구를 괴롭히기 싫어서 프록시 처리 시간 동안 글을 쓴다.

편집시간은 얼마나 걸릴지 막연한 상태이지만, 릴스로 만들어낼 기획이니까 얼마 안 걸리지 않을까? 뭔가 좀 기대되는 느낌이다. 아내와의 프로젝트라 더욱 그렇다. 열심히 살려고 노력하는 아내를 진심으로 도와주고 싶다.

편집이 잘 되어야 할텐데 ㅎㅎ

우선 목표는 최소 1년은 꾸준히 영상 콘텐츠를 발행하는 것이다. 그동안은 소셜지표에는 관심 쓰지 않으려고 각고의 노력을 해야 한다. 좋아요, 공유, 저장 같은 소셜지표에 집착하기 시작하면 2개월을 넘기기 힘들 것이다. 분명히.

그렇지만, 2024년 우리 부부의 모토는 ‘꾸준함’이기 때문에 잘 극복해 낼 것이라 믿는다. 화이팅!

아내의 요리 영상을 찍어주기 시작했다.에 댓글 없음

‘모른다’라는 거짓말

대한민국 힙합신을 대표하는 다이나믹 듀오의 ‘개코‘를 떠올리면 ‘최자‘가 자동으로 떠오른다. 우리가 습관적으로 사용하는 말에도 이런 단짝 친구들이 정말 많다. ‘그때 넌 무슨 느낌이 들었어?’ 적당히 친했던 그 사람이 물었다. 나는…

대한민국 힙합신을 대표하는 다이나믹 듀오의 ‘개코‘를 떠올리면 ‘최자‘가 자동으로 떠오른다. 우리가 습관적으로 사용하는 말에도 이런 단짝 친구들이 정말 많다.

‘그때 넌 무슨 느낌이 들었어?’

적당히 친했던 그 사람이 물었다. 나는 ‘글쎄…’라고 잠시 머뭇댄 후 ‘모른다’라고 답변을 마무리했다. 그렇게 우리의 대화 주제는 다른 곳으로 흘러갔다. 그리고 해당 질문으로는 다시 돌아오지 못했다.

‘글쎄’와 ‘모른다’의 관계

‘글쎄’와 ‘모른다’는 단짝 친구다. 다이나믹 듀오의 랩 가사처럼 ‘불알 두 짝처럼 붙어 다니는 관계’다. 대답하기 껄끄러울 때나 별로 생각하고 싶지 않을 때 곁들이면, 리얼 예능에서 자주 나오던 그 ‘마법의 가루‘와 같은 효과를 준다.

‘모른다’라는 답변은 질문에 따라 다른 의미를 가진다. 나는 어떤 계기를 시작으로 최근 사회, 경제에 관한 뉴스를 거의 보지 않는다. 그래서 실제 일어난 사건, 사고 자체에 대한 질문에서는 ‘정말 모르기 때문’에 사용한다. 그렇지만 이건 오늘 이야기하고 싶은 주제는 아니다. 내가 주목하는 건 감정에 대한 질문을 받았을 때다.

당신의 감정은 안녕하십니까?

‘오늘 어땠어?’, ‘기분이 좀 그래?’, ‘오늘 좋아보이네?’

감정에 대한 답변을 해야 하는 질문을 받을 때가 종종 있다. 대부분은 명확하게 설명 가능하다. 하지만 뭔가 잔잔해서 대답하기 어려울 때도 많다. 이럴 때면 ‘글쎄… 모르겠어’라는 콤비를 소환하곤 했다.

곰곰이 생각해 보면 이유는 두 가지다. 첫째는 질문에 대해 생각하고 싶지 않아서다. 회피하고 싶어서. 특히 부정적 감정이 들었을 때 이런 반응을 자주 보였던 것 같다. 그리고 나머지는 ‘구체적으로 쪼개서 감정의 원인을 생각해 본 적’이 없어서였다.

삶의 맥락은 디테일과 시간이 쌓이면서 형성된다

‘내가 무언가를 안다’라고 생각하는 게 정말인지 착각인지 헷갈릴 때가 있다. 그건 다른 사람에게 내 생각을 말해보는 것으로 쉽게 판가름할 수 있다. 명확한 표현으로 설명할 수 없다면 이해하지 못하고 있는 것이다. 이 개념과 ‘모른다’라는 대답의 맥이 닿아있다.

사실 내 순간적인 감정 상태는 인생에 큰 영향을 주지 못한다. 긍정적, 부정적으로 느껴지는 이유를 몰라도 생기는 불편함은 별로 없다. 일상은 그런 감정과 상관없이 잘도 흘러가니까. 하지만 강에 모래톱이 생겨 물길의 형태가 결정되듯이 우리 인생에는 시나브로 모르는 사이에 조금씩 조금씩 영향을 준다.

그래서 감정을 ‘왜’라는 돋보기로 심층적으로 들여다보는 과정은 꼭 필요하다. 나이를 먹을수록 그런 시간이 더욱 필요하다고 느낀다. 나를 구성하는 감정의 이유가 쌓여갈수록 ‘내가 정말 좋아하고, 하고 싶어 하는 일’이 뭔지라던가, ‘내가 누구인가’라는 질문을 조금씩 덜 하면서 살 수 있어서다. 자아를 알아가는 시간과 방황의 시간은 반비례 관계를 가진다.

‘생각한다’고 생각하는 착각, 그래서…

그렇지만 검색, 소셜 미디어, 챗 GPT 등에 생각을 위임하는 생활이 일상이 되어버린 요즘이다. 출처를 알 수 없는 누군가가 편집해 놓은 생각을 숨 쉬듯 흡수하는 환경에 사는 우리는 자신의 감정을 잘 모른다. 오히려 인터넷 세상의 빅브라더빅데이터 플랫폼 기업, 정부들이 부모님보다 나를 잘 이해하고 있을 것이다. 그렇게 우리는 두루뭉술하고 모호한 상태로 살아간다.

그래서 인생에서 좋은 질문을 할 줄 아는 친구가 필요하다. 감정을 묻는 질문에 대한 답변은 ‘모른다’라고 대답해도 그러려니 하고 넘어가는 경우가 많다. 질문한 본인도 그렇게 대답하는 상황이 많으니까. 그리고 애초에 명확한 답변을 기대하고 질문했을 확률도 낮다. 답변한 사람이 ‘왜’ 모르는지에 대해 깊게 들어가려고 하지 않는다. 추궁하는 것 같아서. 서로 불편해지기 싫어서.

그런 면에서 나는 참 다행이다. 쌓은 덕도 없이 과분한 사람을 곁에 두고 함께 살아가고 있기 때문이다. 오늘 이 글을 쓰면서 감사의 말을 전한다.

‘모른다’라는 거짓말에 댓글 없음

아빠, 안녕하시옵니까?

안녕, 다행아? 너 이때는 아들일까 딸일까 궁금했는데…     오늘 보니 공주님이었구나!     건강하게 엄마, 아빠랑 만나자~    


안녕, 다행아? 너 이때는 아들일까 딸일까 궁금했는데…
 
 

오늘 보니 공주님이었구나!
 
 

건강하게 엄마, 아빠랑 만나자~
 
 

아빠, 안녕하시옵니까?에 댓글 없음

Type on the field below and hit Enter/Return to search